티스토리 뷰
조선시대 이 씨(李氏)는 대대로 부자였는데 증손, 현손에 이르러 가산을
탕진하고 말았습니다. 이에 어려움을 면하기 위해 한양의 집을 홍 씨(洪氏)에게
팔았습니다.
평소 열심히 일하고 노력한 홍 씨라는 사람은 그렇게 한양에서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커다란 기와집에서 살게 되었지만, 여전히 노력하며 살았습니다.
어느 날 대청의 기둥 하나가 기울어져 무너지려는 것을 보고 수리를 하였는데,
깜짝 놀랄 일이 벌어졌습니다.
새로운 기둥을 세우기 위해 헌 기둥을 뽑아낸 자리에서 어찌 된 영문인지
은(銀) 3,000냥이 들어 있는 항아리가 나온 것이었습니다.
놀란 홍 씨는 급히 수소문하여 집의 이전 주인인 이 씨를 찾았습니다.
이 씨는 홍 씨에게 집을 팔고 검소하게 살고 있었습니다.
홍 씨는 이 씨를 찾아가 은전이 든 항아리는 이 씨의 조상이 간직해 둔
돈이라면서 주려고 했지만, 이 씨가 사양하면서 말하였습니다.
"나는 집을 팔면서 그 집의 기왓장이나 주춧돌까지 몽땅 당신에게 팔았소.
그리고 그 돈이 우리 것이라는 증명할만한 문서도 없으니 그 돈은 당신 것이 맞소."
이렇게 옥신각신하는 홍 씨와 이 씨의 사연이 관청에 전해지자,
관청에서는 조정에 아뢰었습니다. 그러자 임금이 교서를 내렸습니다.
'우리 백성 가운데 이처럼 어진 자가 있으니, 누가 오늘날 사람이
옛사람만 못하다고 하겠는가?'
그리고는 은전을 반씩 나눠 가지게 한 뒤, 두 사람에게 벼슬을 내렸다고 합니다.
조선 후기 때의 시인 조수삼의 문집 '추재집(秋齋集)'에 실려 있는 이야기입니다.
'주운 물건은 주인에게 돌려줘야 해요. 남의 물건을 훔치면 안 돼요.'
너무나 당연한 사실을 어릴 적부터 배우지만, 좋은 것을 보면 견물생심(見物生心)이
생기는 것은 어쩌면 인간의 본성에 가까운 일일지도 모릅니다.
하물며 그런 본성을 억누르고, 심지어 자신의 것이라 당당히 주장할 수 있는
큰 재물을 보고도 양보하고, 더 합당한 주인을 찾으려 하는 행동은
크게 본받아야 하겠습니다.
출처 : 따뜻한 편지 제2305호
'마음의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관계는 나에게 달려있다 (0) | 2023.07.06 |
---|---|
공원에서 만난 아저씨 (0) | 2023.07.06 |
황제펭귄의 허들링 (0) | 2023.07.03 |
화가 나면 열까지 세라 (0) | 2023.06.30 |
힘을 빼야 배운다 (0) | 2023.06.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메타버스
- 과학기술
- 인허가
- 네트워크
- 정부지원
- 개인정보
- 중소기업
- 감동글
- 플랫폼
- 공공기관
- 시행령
- 가이드라인
- 정보보호
- 4차산업
- 행정법률
- 정부정책
- 좋은글
- 디지털전환
- 코로나19
- 인공지능
- 입법예고
- 교훈
- 마음의양식
- 개정안
- 정보통신
- 행정사
- 빅데이터
- 지자체
- 행정안전부
- 개인정보보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