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漢)나라 유방과 초(楚)나라 항우(項羽)가 천하를 걸고 싸울 당시 계포는 항우의 장수로 유방을

힘들게 했다. 항우가 패망하고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자 계포는 천금의 현상금이 걸린 도망자가 되었다.

그런데 계포를 아는 이는 누구도 그를 고발하지 않다. 오히려 유방에게 그를 천거하기까지 했다.

왜 그랬을까? 비록 적의 입장이었고, 패망한 나라의 장수였지만 의로운 일에 힘쓴 그의 인물됨을

알기에 주변에서 아낀 것이다. 결국 한나라에서 벼슬을 얻었다.

한편 여태후가 집권하고 있을 때 흉노(匈奴)의 선우(單于)가 여태후를 깔보는 투의 편지를 보내왔다.

상장(上將) 번쾌(樊噲)가 자신에게 10만 병력을 주면 흉노족을 소탕하고 오겠다고 큰소리쳤다.

당시 번쾌는 여태후의 총애를 받고 있던 터라 신하들이 그의 말에 맞장구쳤다.

"번쾌의 목을 베십시오." 홀로 나서 외치는 이가 바로 계포였다.

그는 한고조인 유방도 40만 군대를 거느리고 정벌에 나섰다가 포위당한 적이 있는데, 10만으로 흉노를

정벌하겠다는 것은 망발이라고 말했다. 진(秦)나라가 망한 것은 오랑캐와 시비를 벌이고 있을 때

그 기회를 틈탄 진승 등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번쾌를 나무랐다. 신념에 찬 계포의 말에 신하들은

그가 처형되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여태후는 계포의 신의를 믿고 그 일을 덮었다.

자신이 한 말에 대해 책임을 질 줄 아는 사람은 헛된 권력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길을 간다. 어쩌면 목숨을 걸어야 하는 상황에서도 굽히지 않고 소신 있는 말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누구보다 말의 무게를 알고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순리열전'에는 좀 더 강력한 책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초(楚)나라 소왕(昭王) 무렵의 재상으로

있었던 석사(石奢)의 이야기다. 석사는 성품이 곧고 정직하여 권세를 두려워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일이 없었다.

어느 날 석사는 지방 고을을 순찰하다가 살인사건을 보고받게 된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그 사건의 범인을

잡고 보니 자신의 아버지였다. 석사는 재빨리 아버지를 달아나게 하고 그 대신 스스로 옥에 갇혔다.

그리고 사람을 시켜 소왕에게 그 상황을 알렸다.

자신의 아버지가 살인사건의 범인인데, 법에 의거해 아버지를 처형하자니 불효요, 법을 무시하고

아버지를 풀어주는 것은 불충이니 자신이 죽어 마땅하다고 말이다. 그러자 소왕은 워낙 석사를 아꼈던

지라 범인을 뒤쫓아 갔지만 잡지 못한 것으로 하자고 했다. 소왕으로선 석사가 벌을 받는 것은 옳지

않다고 했다. 그러니 재상의 일에만 힘쓰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석사는 자기 아버지에게 사사로운 정을

주지 못하는 자는 효자가 아니고, 왕의 법을 충실히 받들지 못하는 자는 충신이 아니라고 했다.

신하가 벌을 받아 죽어야 할 일이라면 지키는 것이 도리라며 칼로 목을 찔러 자결하고 말았다.

석사로서는 진퇴양난의 상황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는 한나라의 재상으로서 책임감을 모르지

않았다. 말로든 행동으로든 책임을 져야 하므로 스스로 한 약속을 지킨 것이다.

한 번 입 밖으로 나간 말이나 한 번 정해진 법은 그 책임을 다해야 한다.

마음올 허락한 것도 지키는 이가 있는데, 입 밖으로 나온 말이라면 당연히 지켜져야 한다.

비록 실행되지 않았지만 번쾌가 자기 말대로 했다면 한나라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책임을 져야

했을 것이다. 그것이 말의 무게인 것이다.

'마음의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라클레스의 선택  (0) 2021.07.12
나이를 먹는 것은 어쩔 수 없다  (0) 2021.07.12
계찰괘검(季札掛劍) 마음으로 한 약속을 지키다  (0) 2021.07.10
능률의 비결  (0) 2021.07.09
노인의 정의  (0) 2021.07.09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