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제 식민지 때, 당대 경북 안동에서 이름을 날리 던 파락호 중에 퇴계의 제자이자
영남학파의 거두였던 의성 김씨 학봉파의 명문가 후손으로서,
학봉 '김성일' 종가의 13대 종손인 '김용환(金龍煥, 1887년~1946년)' 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노름을 즐겼습니다.
당시 경북 안동일대의 노름판에는 꼭 끼었고 초저녁부터 노름을 하다가 새벽녘이 되면
판돈을 다 걸고 마지막 배팅을 하는 주특기가 있었습니다.
만약 배팅이 적중하여 돈을 따면 좋고,그렇지 않고 실패 하면 도박장 주변에 잠복해 있던
그의 수하 20여명이 몽둥이를 들고 나타나 판돈을 덮치는 수법을 사용 했습니다.
판돈을 자루에 담고 건달들과 함께 유유히 사라졌던 노름꾼 '김용환',
그렇게 노름하다가 종갓집도 남의 손에 넘어가고 아내가 아이를 낳는 줄도 모른 채, 수 백년 동안의
종가재산으로 내려오던 전답 18만평, 현재 시가 약 400억 원도 다 팔아 먹고 아내 손을 잡으며,
"미안하오. 오면서 깊이 뉘우쳤소.이제 달라 지겠소."라는 약속도 잠시,
다시 금땅 문서를 들고 노름판을찾았습니다.
그렇게 팔아 먹은 전,답을 문중의 자손들이 십시일반으로 돈을 걷어 다시 종가에 되사주곤 했습니다.
“집안 망해 먹을 종손이 나왔다.”고 혀를 차면서도 당시 양반 종가는 문중의 구심점임으로 없어지면
안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습니다.
급기야는 시집 간 무남독녀 외동딸이 신행 때 친정 집에 가서 장농을 사오라고 시댁에서 받은 돈 마저도
친정 아버지 김용환은 노름으로 탕진했습니다.
딸은 빈손으로 시댁에 갈 수 없어서 친정 큰 어머니가 쓰던 헌 장농을 가지고 가면서 울며 시댁으로
갔습니다.
이 정도니 주위에선 얼마나 '김용환'을 욕했겠습니까?
'김용환'은 해방된 다음 해인 1946년 세상을 떠납니다.
이러한 천하의 파락호 노름꾼 '김용환'이 사실은 만주에 독립자금을 댄 독립투사였음이 사후에
밝혀졌습니다. 그간 탕진했다고 알려진 돈은 모두 만주 독립군에게 군자금으로 보내졌던 것이
밝혀진 것입니다.
'김용환'은 독립군의 군자금을 만들기 위하여 죽을 때 까지 노름꾼,
주색잡기, 망나니 파락호라는 불명예를 뒤집어 쓰고
위장한 삶을 살면서도 자기 가족에게 까지도 철저하게 함구하면서 살았던 것 입니다.
그래야 왜경놈들의 관심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 입니다.
임종 무렵에 이 사실을 알고있던 독립군 동지가 머리맡에서,
“이제는 만주에 돈 보낸 사실을 이야기 해도 되지 않겠나?” 라고 하자
“선비로서 당연히 할 일을 했을 뿐인데 아무 말도 하지 말라”는 말을 남긴 채 눈을 감았습니다.
일제시대 때 '김용환'의 할아버지 '김흥락'이 사촌 의병대장 '김희락'을 숨겨줬다는 이유로
왜경에게 마당에서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을 보고 나라를 되찾아야겠다는 항일의 뜻을
품게 되었고, 평생을 철저하게 망나니 행세를 하면서 노름판을 전전하는 노름꾼 파락호로
위장을 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김용환'의 호국정신 이야기는 가슴 속 깊이 찡한 감동과 애국정신을 가져다 줍니다.
지금 경북 안동 독립운동기념관에 '김용환'의 일대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입법예고
- 정부정책
- 메타버스
- 행정법률
- 네트워크
- 빅데이터
- 교훈
- 4차산업
- 시행령
- 공공기관
- 좋은글
- 과학기술
- 행정사
- 개정안
- 지자체
- 디지털전환
- 개인정보보호
- 정보통신
- 가이드라인
- 코로나19
- 인공지능
- 정부지원
- 행정안전부
- 인허가
- 플랫폼
- 감동글
- 마음의양식
- 정보보호
- 개인정보
- 중소기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