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느 노부부가 부부싸움을 했습니다.
화간 난 할머니는 그날부터 입을 닫고, 할아버지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때가 되면 밥상을 차려놓고, 한쪽에 앉아 말없이 TV만 보고 계셨습니다.
그러다가 식사를 마칠 때쯤이면 또 말없이 숭늉을 떠다 놓았습니다.
할아버지는 할머니와 밥상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던 때가 그리웠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머니의 말문을 열게 할지 한참 동안 곰곰이 생각했습니다.
잠시 뒤 할머니가 마른빨래를 정돈해서 옷장 안에 넣고 있었고, 말없이 바라보던 할아버지는 할머니가
옷장 문을 닫고 나가자 옷장 문을 열고 무언가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저기 뒤지며 부산을 떨던
할아버지는 옷장 속에 있던 옷들을 하나둘씩 꺼내놓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을 본 할머니는 화가 났습니다. 저렇게 해놓으면 나중에 치우는 것은 할머니 몫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할머니는 할아버지에게 따져 물었습니다.
"아니, 도대체 뭘 찾으려고 그러는데요?" 그러자 할아버지는 웃으며 대답했습니다.
"이제야 임자 목소리를 찾았구먼." 할아버지의 지혜로운 화해 요청에 할머니도 그동안의 화가
풀리면서 그만 따라서 웃고 말았습니다.
작은 싸움이 큰 싸움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바로 자존심 때문입니다. 자존심 때문에 먼저
말을 걸지 않고, 미안하다고 말하지 않기에 작은 불씨가 활활 타올라 관계에 금이 가고 마는 것입니다.
화해의 기술은 자존심을 잠시 굽히고, 먼저 미소 한 번 지으면 됩니다. 거기에서 화해는 시작되며
관계는 회복됩니다.
출처 : 따뜻한 편지 제1685호
'마음의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을 움직인 이야기 (0) | 2020.11.09 |
---|---|
이해의 중요성 (0) | 2020.11.09 |
바위를 밀어야 하는 이유 (0) | 2020.11.08 |
세 가지 보석 (0) | 2020.11.07 |
인생은 선택이다 (0) | 2020.11.07 |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인정보
- 코로나19
- 행정법률
- 메타버스
- 플랫폼
- 인공지능
- 정부정책
- 공공기관
- 좋은글
- 과학기술
- 4차산업
- 인허가
- 정보보호
- 행정사
- 네트워크
- 빅데이터
- 개인정보보호
- 마음의양식
- 가이드라인
- 시행령
- 교훈
- 감동글
- 입법예고
- 지자체
- 정부지원
- 중소기업
- 정보통신
- 디지털전환
- 개정안
- 행정안전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