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개의 눈
법정에서 피고인을 바라보는 법조인 셋의 눈은 사뭇 다르다. 검사는 죄의 결과만 보고 유죄를 입증해 응당한 벌을 주라고 한다. 변호사는 죄의 결과보다는 동기와 정상을 참작해서 무죄나 감죄를 증명하고자 한다. 판사는 피고인과 증인들, 그리고 검사와 변호사의 주장을 다 들어본 뒤 진실에 입각해서 공정한 판결을 내리려고 한다. 올바른 재판을 위해서 이 셋은 그 나름대로 다 귀한 직분들이며 어느 하나도 빠져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어떤 눈으로 사람을 봐야 할까? 죄의 결과와 단점만 들추어내는 검사의 눈? 비록 죄를 지었다고 할지라도 그 나름대로의 동기와 정상을 참작해서 적극 두둔해주는 변호사의 눈? 그도 아니면 좋게도 나쁘게도 아닌 사실 그대로를 보려고 하는 판사의 눈? 이 세 개의 눈 가운데 그리..
마음의양식
2020. 9. 23. 06:4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4차산업
- 가이드라인
- 개인정보
- 네트워크
- 행정사
- 정부지원
- 인공지능
- 개인정보보호
- 마음의양식
- 행정안전부
- 과학기술
- 정보보호
- 공공기관
- 디지털전환
- 교훈
- 빅데이터
- 플랫폼
- 감동글
- 행정법률
- 입법예고
- 개정안
- 정보통신
- 코로나19
- 정부정책
- 시행령
- 메타버스
- 중소기업
- 인허가
- 지자체
- 좋은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