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청년이 새해를 맞아 인생을 충실히 보내고 싶다는 생각으로 삶의 계획을 작성하고 실행에 옮겼습니다. 첫 번째, '건강한 삶'을 위해 꾸준히 운동하고, 두 번째, '사랑받는 삶'을 위해 주변 사람들을 배려하며, 세 번째, '풍족한 삶'을 위해 누구보다도 열심히 일했고, 네 번째, '명예로운 삶'을 위해 정의롭게 살고자 했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보기에는 청년은 누구보다 '충실한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청년은 무언가 부족한 듯한 느낌에 항상 걱정과 불안이 마음 한구석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청년은 자신의 스승을 찾아가 물었습니다. "저는 누구보다 충실한 삶을 위해 계획을 세우고 잘 실행하고 있는데 여전히 뭔가 부족합니다. 저에게 빠진 것이 무엇인가요?" 스승은 제자가 쓴 계획을 보고 ..
어느 날 갑작스러운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지만 이미 치료 시기를 놓쳐 의사로부터 시한부 판정을 받은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 뒤로 몸에 좋다는 약도 써보고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했지만, 그의 병세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기로 하였고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세상을 떠나기 전에 정리해야 할 일들을 적다가 아직 마무리되지 못한 감정들이 생각났습니다. 그 감정 중 하나는 바로 용서였고 자신이 용서해야 할 일과 사람들을 생각하며 천천히 종이에 이름을 썼습니다. 사람들의 이름을 보면서 그동안 자신이 용서하지 못했던 사람들을 이제는 용서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종이에 적힌 사람들에게 연락해 안부를 묻고는 과거의 과오를 용서한다는 말을 전했습니다. 연락..
심리학자이자 정신의학과 전문의인 알렉산더 로이드 박사는 수많은 정신질환 환자를 상담하면서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세 가지 질문을 발견했습니다. 1. "지금 가장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질문에 '돈'이라고 대답합니다. 2. "그 소원이 이루어지면 삶이 어떻게 변화될까요?"라고 물으면 환자들은 돈에 관한 문제들이 해결되고 여유로운 삶을 누리는 자신의 모습을 떠올립니다. 3. "바뀐 삶을 살아가는 당신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나요?" 라는 마지막 질문에 답을 생각하던 환자들은 정말 바라던 것은 '돈'이 아니라 문제가 해결될 때 찾아오는 '평안', '행복'과 같은 감정들이라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평안과 행복을 얻기 위해 돈과 같은 물질적인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는..
일순간 백수가 되어버린 요즘 여유 넘치는 시간에 서랍 정리를 하다가 우연히 MP3를 발견했다. 눈시울이 붉어졌고, 미소가 지어졌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다툼은 내게 전쟁 같은 공포였고 잦은 부재는 날 외롭게 했다. 그때마다 함께 해준 유일한 사람은 세 살 터울 오빠다. 내 생일 오빠는 나에게 AAA 건전지 하나로 수많은 곡이 흘러나오는 MP3를 사주었다. "저녁에 무서우면 듣고 있어…" "응……" 너무나 행복했다 그런데 바보, 내 취향은 전혀 고려치 않은 채 본인이 좋아하는 시끌벅적한 음악만 잔뜩 넣어놨었다. 이 작은 물건은 전쟁 같은 공포 속에서 나에게 평안함을 주었다. 놀랍게도 여전히 작동된다. 오빠의 사랑이 여전히 전해지고 느껴진다. "사랑해 오빠!" 출처 : [행복한가] ..
- Total
- Today
- Yesterday
- 마음의양식
- 정보통신
- 빅데이터
- 감동글
- 디지털전환
- 개인정보
- 인공지능
- 공공기관
- 입법예고
- 지자체
- 교훈
- 개정안
- 시행령
- 인허가
- 정부정책
- 개인정보보호
- 4차산업
- 플랫폼
- 정보보호
- 행정안전부
- 중소기업
- 가이드라인
- 행정사
- 행정법률
- 메타버스
- 좋은글
- 정부지원
- 과학기술
- 코로나19
- 네트워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