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진()나라를 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킨 항우()가 쥐루[鹿]의 싸움에서, 출진()에 즈음하여
타고 온 배를 가라앉히고 사용하던 솥을 깨뜨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
사기()》 〈항우본기()〉편

진()나라 말기 영웅들이 천하를 다툴 때의 이야기이다. 급격히 추진된 진나라의 통일정책과 대국민 
토목공사 등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민심이 동요하기 시작하자, 진 시황제 말년에 극단적인 
탄압정책이 시작되었다. 진나라의 폭정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시황제의 죽음을 계기로 여기저기서 
들고 일어났다. 이에 진나라는 장군 장한()을 내세워 항량()을 정도()에서 대패시키고
그를 죽게 했다. 장한은 이 승세를 타고 조왕()을 크게 격파하고, 쥐루를 포위하였다. 
그러자 이에 맞서 항량의 조카 항우는 영포()를 보내 막게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다급해진 조왕의
대장 진여()가 항우에게 구원병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항우는 진나라를 치기 위해 직접 출병하기로 했다. 항우의 군대가 막 장하를 건넜을 때였다. 항우 
갑자기 타고 왔던 배를 부수어 침몰시키라고 명령을 내리고, 뒤이어 싣고 온 솥마저도 깨뜨려 버리고 
주위의 집들도 모두 불태워버리도록 했다. 그리고 병사들에게는 3일 분의 식량을 나누어 주도록 했다.
이제 돌아갈 배도 없고 밥을 지어 먹을 솥마저 없었으므로, 병사들은 결사적으로 싸우는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었다. 과연 병사들은 출진하라는 명령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적진을 향해 돌진하였다. 
이렇게 아홉 번을 싸우는 동안 진나라의 주력부대는 궤멸되고, 이를 계기로 항우는 제장()의 맹주가
되었다. 이 고사에서 유래된 '파부침주'는 결사적인 항전태세를 갖추게 한다는 의미로 비유되어 사용
된다. '파부침선()', '기량침선()'과 같은 말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파부침주 [破釜沈舟] (두산백과)

'시사상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서문  (0) 2019.06.24
좋은 토론을 위한 7가지 원칙  (0) 2019.05.22
하브루타 [havruta]  (0) 2019.05.22
[중국고사] 지록위마(指鹿爲馬)  (0) 2019.05.22
무심코 사용하기 쉬운 일본식 한자어  (0) 2019.02.25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